728x90
저번 시간에 이어 버터플라이 컴포넌트 공부를 하겠습니다.
공포의 그래스호퍼 탐방기(2):Butterfly 컴포넌트 알아보기(1)
오늘은 버터플라이를 설치하기 전에, 이게 도대체 어떻게 이루어진건지부터 알아보려고 한다. 사실 나도 잘 모르고 얘네 사이트에서 이미 자세히 설명해놓아서 내가 할 일은 별로없는 거 같지
beansaysyeah.tistory.com
두 번째 카테고리는 바운더리, 경계를 만들어주는 요소들이다. 이번에도 자주 쓰이는 애들은 이렇게 세 가지라할 수 있겠다.
직역하면 '경계의 입구 부분'이란 이름의 컴포넌트. 속도 값을 입력하면, 이 값이 경계의 시작점에 적용되는 듯하다.그래서 필수적인 입력값은 속도 벡터값.
출구 경계를 생성해주는 컴포넌트. 온도 또는 부동 압력을 입력하면 계산에 적용되는데, 이 압력을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0으로 계산된다고 한다. 그래서 예제에서도 딱히 입력해주지 않았나보다.
벽 경계를 만들어주는 컴포넌트. 역시 온도에 따라 압력이 변하기 때문에 따로 온도값을 입력할 수는 있으나 필수는 아니다.
다음 카테고리도 이어서 같이 정리할까 했지만, 글 길이가 애매하게 길어져서 끊어서 써야겠다
728x90
'첫걸음 라이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포의 그래스호퍼 탐방기(1):그래스 호퍼, 레이디 버그(lady bug), 허니비(honeybee) 설치 방법 (5) | 2021.07.14 |
---|---|
<라이노 꿀팁>엔스케이프(Enscape) 무료로 설치하기+엔스케이프란? (0) | 2021.07.14 |
<라이노 꿀팁>전세계 콘타+건물 캐드파일+라이노,스케치업 모델링 파일 무료 다운 사이트 추천:CAD Mapper (0) | 2021.07.14 |
공포의 그래스호퍼 탐방기(2):Butterfly 컴포넌트 알아보기(1)-create (3) | 2020.11.09 |
<라이노 꿀팁>명령어 변경하기 (0) | 2020.10.11 |
댓글